성형외과

피부에 뭐가 났어요. 3 (얼굴의 점)

보람찬 하루를 향해 2021. 7. 29. 15:13
728x90

안녕하세요. 오늘은 피부에 발생할 수 있는 종양 세번째 시간 입니다.

 

앞서 

 

1. 표피 기원 종양

2021.07.21 - [성형외과] - 피부에 뭐가 났어요. 1 (피부 양성 종양, 피부 혹)

 

피부에 뭐가 났어요. 1 (피부 양성 종양, 피부 혹)

안녕하세요. 오늘은 피부 양성 종양에 대해서 공부를 해볼 예정입니다. 종양(Tumor, 혹)은 덩어리 진 세포 덩어리를 의미합니다. 특정세포가 정상적인 분열상태를 넘어서서 분열을 하게 되면 사이

faithfull-medicine.tistory.com

 

2. 피부 부석기 기원 종양

2021.07.22 - [성형외과] - 피부에 뭐가 났어요. 2 (피부 양성 종양, 피부 부속기 기원편)

 

피부에 뭐가 났어요. 2 (피부 양성 종양, 피부 부속기 기원편)

오늘은 피부양성 종양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공부해 보겠습니다. 바로 꼬 2. 피부 부속기 기원 종양 피부 부속기라 함은 피부의 감각, 수축, 윤활작용 등을 하는 기관들을 의미하며, 털(감각, 열손

faithfull-medicine.tistory.com

을 넘어서 이번에는 

 

3. 신경관 기원 종양

 

입니다. 신경관 기원이라는 것은 발생학에서 시작된 것인데, 피부에서는 신경세포와 색소형성세포(멜라노사이트) 기원 종양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먼저 멜라노사이트(색소형성세포) 기원 종양입니다. 우리는 점이라고 많이 부릅니다. 

색소형성세포는 대부분 표피와 진피의 경계부에 존재합니다.

 

a. 단순흑점 (lentigo simplex)

b. 경계모반 (Junctional nevus)

c. 복합모반 (Compound nevus)

d. 진피모반 (Dermal nevus)

 

다 점인데, 현미경으로 보면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이름이 다르게 붙었습니다.

 

점(Nevus) 비교

 

단순흑점 : 색소형성세포의 수가 증가한 것입니다.

경계모반 : 표피와 진피 사이에 색소형성세포가 군집을 이룬 것 입니다.

복합모반 : 표피와 진피에 각각 색소형성세포가 군집을 이룬 것 입니다.

진피모반 : 진피에 색소형성세포가 군집을 이룬 것 입니다.

 

모반의 특징

가장 피부 표면과 가까운 경계모반(Junctional nevus)짙은 갈색이나 검정색을 띄고, 복합모반(Compound nevus)갈색을 듸고, 진피모반(Dermal nevus)옅은 갈색을 띄게 됩니다. 그리고 진피모반 같은 경우는 깊은 곳에 군집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둥그렇게 튀어나온 경우가 많고 반면 경계모반튀어나온 것이 거의 없습니다.

 

물론 항상 이렇게 구분되는 것은 아닙니다. (조직검사를 해봐야 겠지요..) 진피내모반이 검은색을 띌 때고 있고, 경계모반이 튀어나온 경우도 있습니다. 색소형성세포가 얼마나 색소를 만들어내는지와 얼마나 군집을 이루는지에 따라 다르겠지요.

 

치료는 냉동치료, 레이저, 절제술 모두 가능합니다.

 

e. 편평모반 (Nevus spilus)

 

=> 색소형성세포가 증가한 것이 아니고 색소형성세포에서 색소를 많이 뿜어내서 발생한 것입니다.

=> 세포가 늘어난 것이 아니기 때문에 편평합니다.

=> 카페오레점이라고 부릅니다.

=> 레이저가 효과가 좋습니다.

 

f. 오타 점(Ota nevus), 이토 점(Ito nevus), 몽고반점 (Mongolian spot)

피부 깊이에 따라 보이는 색

 

진피의 깊은 곳에 멜라닌 색소가 뿌려져 있다면 Tyndal effect에 의해서 파랗게 보입니다. 쉽게 생각해서 색소가 가장 얕은 곳(표피 근처)에선 검은색, 깊은 곳에선 주변 구조물에 영향을 받아 흐려지다가 파란색으로 변해간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즉 파란색 점은 색소 자체가 깊은 곳에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치료는 레이저 입니다. 하지만 몽고반점 같은경우는 사라지는 경우도 많으니 출생시부터 발견되는 파란색 반점은 학동기까지 기다려 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g. 청색 반점 (blue nevus)

 

위의 오타 반점, 이토 반점과 같습니다. 하지만 좀더 반점으로 보이는 것들입니다. 크게 두가지로 나눕니다.

 

g-1 보통 청색 모반 (common blue nevus)

보통 청색 모반 (Common blue nevus)

 

 1cm이 넘으면 절제하는 것을 권유합니다.

 

g-2 세포성 청색 모반 (cellular blue nevus)

세포성 청색 모반 (Cellular blue nevus)

 방추형 모양이 다른 암종과 감별해야 되기 때문에 보이면 절제를 권유합니다. 차이는 세포성 청색 모반이 좀 더 튀어나와 있고, 엉덩이 부분에 많으며, 세포 자체가 멜라닌 색소가 없는 방추모양의 세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다음은 신경세포 기원 종양입니다. 이 또한 신경관 기원 종양입니다.

 

a. 신경종 (Neuroma)

b. 신경초종 (Schwannoma)

c.  신경섬유종 (Neurofibroma)

 

신경세포 (Neuron)

 

신경세포에서

슈완세포(Schwann cell)이 비정상적인 증식을 하면 신경초종 (Schwannoma)

신경세포 일부가 떡져서 커지면 신경종 (Neuroma)

신경내피(Endoneurium)의 과도 증식하면 신경섬유종 (Neurofibroma)

 

입니다. 더 쉽게 설명드리겠습니다.

신경에서 딱딱하게 뭐가 만져지는데 현미경 검사상 이것저것 여러 세포가 모여있다 = 신경종 (Neuroma)

신경에서 딱딱하게 뭐가 만져지는데 슈완세포로 이루어져있고 캡슐에 둘러싸져 있다 = 신경초종 (Schwannoma)

신경이 두꺼운데, 캡슐에 둘려싸여 있지 않고, 슈완세포가 보인다 = 신경섬유종 (Neurofibroma)

 

A. 신경초종 B. 신경섬유종

 

치료는 전부 수술적 절제입니다. 신경세포에 종양이 생기면 통증과 감각이상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신경관 기원 피부 종양까지 알아보았습니다. 남아있는 종류는 이제 중배엽 기원 종양 뿐입니다. 피부 양성 종양의 내용은 길지만, 만약 내 몸에 무엇이 생겼을 때, 그것에 대해서 뭔지 안다면 치료방향을 결정하고, 안심할 수 있어 좋을 것 같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도 '보람찬 하루를 향해' 화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