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에서 일어난 일

임신 준비 중 인데 (임산부인데) 백신 맞아도 되나요?

보람찬 하루를 향해 2021. 8. 3. 23:13
728x90

결론부터 말씀 드리면

 


1. 맞아도 됩니다.

2. mRNA 백신(화이자, 모더나)를 맞으세요

 


 

전달체 백신인 아스트라제네카의 합병증인 혈전생성증 발생이 젊은 여성에게서 많이 발생한다는 글을 전에 포스팅 한 적이 있습니다.

 

2021.08.03 - [응급실에서 일어난 일] - 코로나 백신과 혈전증 (feat. 아스트라제네카)

 

코로나 백신과 혈전증 (feat. 아스트라제네카)

안녕하세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은 저도 가장 걱정했었던, 혈전증에 대해서 공부해보겠습니다. 1. 혈전증이란? 생체 내부를 순환하는 혈액 일부가 혈관 안에서 덩어리로 굳어 버리는 것

faithfull-medicine.tistory.com

 

1. 출산 이후엔 혈전증 발생 확률이 늘어난다는 점

2. AZ 백신은 젊은 여성에게서 혈전 생성증 발생 비율이 높다는 점

 

때문에 AZ 백신은 추천드리고 싶지 않습니다.

더불어서 AZ 백신 가지고 안정성에 관한 논문을 아직 못읽어봤습니다.

 

 

그렇다면 mRNA 백신인 화이자와 모더나는 괜찮은가?

 

이 이야기를 하기 전에 두가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1. 임산부가 백신을 맞는게 이득인가?

2. 화이자와 모더나는 안정성이 있는가?

 

임산부가 백신을 맞는게 이득인가?

임신 중이거나 최근에 임신했던 사람은 임신하지 않은 사람과 비교할 때 COVID-19 감염 시 중증 질환을 앓을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a

 

임신 중 코로나에 걸리면 중환자실 입원 확률이 3배 더 높고, 인공 호흡기 달 확률은 2.9배, 사망 확률은 1.7배 더 높습니다.

 

 

임신 중 코로나에 걸리면 조산/사산 위험성이 10~25% 증가하며, 중환인 경우엔 60% 증가합니다.

 

=> 걸릴 것을 고려하면 맞는 것이 이득입니다.

=> 내가 절대 안걸릴 것이라고 생각한다면 안맞아도 되겠지만요..

 

화이자와 모더나는 안정성이 있는가?

임산부와 태아 모두 특별한 합병증이 보고 된 바 없으며, 조산/사산 가능성과 부작용의 빈도수가 큰 차이가 없습니다.

 

 

@NEJM

 

@NEJM
@NEJM

주사부위 통증은 임산부에게서 더 나타났고, 피곤감, 두통, 근육통, 떨림, 열 은 임산부에게서 적게 나타났습니다.

@NEJM

 

유산(20주내) 12.6% / 유산(20주이후) 0.1% / 조산 9.4% / 성장지연 3.2% 나타났습니다.

이는 평범한 인구 집단에서 나타나는 유산, 조산, 성장지연의 빈도수와 큰 차이가 없습니다.

즉 백신 맞고 유산, 조산, 성장지연이 더 생겼다고 말할 수 없습니다.

 

https://korean.cdc.gov/coronavirus/2019-ncov/vaccines/recommendations/pregnancy.html

 

임신부 또는 수유부를 위한 백신 접종 고려사항

임신부 또는 수유부가 COVID-19 백신 접종에 대해 고려헤야 할 사항을 확인하세요.

korean.cdc.gov

 

참고하시면 도움 될 것 같습니다.

다만 위 글에서 

이런 글을 적어놨는데, 얀센(전달체백신, 인간꺼), AZ(전달체백신, 침팬지꺼)의 안정성은 아직 확립되지 못했습니다.. 논문이 더 밝혀지면 좋겠습니다.

 

즉 지금까지는 모더나, 화이자가 낫습니다.

 

더 많은 논문들이 밝혀져서 임산부들이 우리나라에 들어오는 모든 백신을 안전하게 맞기를 바랍니다.

 

코로나가 얼른 종식되서 많은 사람들의 웃는 얼굴을 길에서 보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