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형외과

창상 드레싱 방법과 변연절제술의 종류

보람찬 하루를 향해 2021. 8. 18. 14:41
728x90

2021.07.08 - [성형외과] - 상처와 드레싱 2 (드레싱 재료와 방법)

 

상처와 드레싱 2 (드레싱 재료와 방법)

오늘은 드레싱 재료와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읽기 전에 기본이 되면서 가장 중요한 상처와 드레싱1 을 읽고 오신다면 도움이 많이 될 것입니다. 2021.07.07 - [성형외과] - 상처와 드레싱 1

faithfull-medicine.tistory.com

위의 내용은 일반인들이 받아드리기 쉽도록 정리한 것이고 아래 내용은 좀 더 전문적인 분들이 공부하기에 알맞은 글입니다.

수많은 사진들을 담고 싶으나, 알고리즘에 의해서 관리자 삭제가 되네요. 가장 중요한 창상 회복 프로세스와 창상에 대한 평가를 내리는 부분은 사진이 혐짤이라 전부 차단당해서, 못올리겠습니다. 열심히 정리한 것이 있는데 원하시는 분들만 쪽지주세요..

 

 

드레싱 및 변연절제술 방법

드레싱 재료

A. (foam)

폴리우레탄 성분으로, 보이지 않은 미세 구멍(micropore)가 있어 짓물(삼출물)을 흡수한다. 폼의 두께와 크기별로 다양한 사이즈가 있으며 보통 두께가 두꺼울 수록 많은 양의 삼출물을 흡수한다.

 

 

B. 하이드로콜로이드(Hydrocolloid)

폴리이소부틸렌과 같은 접착제에 결합된 젤라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타르륨, 펙틴 등 고무양 물질의 미립자로 구성된다. 상처 표면에 겔을 형성하여 상처를 보호하며, 공기를 차단한다. 가피와 같은 죽은조직을 녹여내 젤라틴성의 삼출물을 형성하게 된다.

 

 

C. 하이드로겔(Hydrogel)

하이드로콜로이드와 성분이 비슷하지만 겔 타입으로 형성되어, 죽은조직을 녹여내는데 사용한다. 주성분은 수분이며,

차드레싱이 요구된다.

 

 

D. 필름(film)

아크릴 접착층으로 덮인 얇은 폴리우레탄막으로 이루어져, 가스는 투과되나 액체는 투과되지 않는다. 습윤상태는 유지되며, 상처부위 평가에 유용하다. 삼출물 흡수는 불가능하여, 감염된 상처나 삼출물이 많은 상처에는 사용되지 못한다.

                   

E. 거즈(Gauze)

거즈의 그물망 사이로 짓물을 흡수하는 기능을 갖는 1세대 드레싱 제재이다. 창상이 쉽게 건조해져서 드레싱 체인지시에 창상에 추가적인 위해를 가할 수 있다.

F. 알지네이트(Alginate)

해초에서 추출한 천연 다당질 칼슘염으로 만든 셀룰로즈 형태의 비직물성 섬유이다. 삼출물이 칼슘 알지네이트에 닿으면 삼출물내 나트륨이 알지네이트의 칼슘과 교환되어 겔을 형성한다. 다량 삼출물이 있을 때 사용된다.

G. 실버(silver)

세균, 진균, 바이러스에 대해 광범위한 항균작용이 있으며 염증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소독약

A. 베타딘 (포비돈 요도드)

세균, 진균, 바이러스, 원충, 효모에 대한 살균력이 있는 광범위 소독제, 감염이 동반된 상처에 사용된다

 

B. 과산화수소

피부 조직 내 생체촉매에 의해 분해되어 생성된 산소를 소독에 이용한다. 최근에는 정상 조직에도 화상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다.

 

C. 연고 (에스로반, 후시딘)

항생제가 들어있어 항균작용을 하며, 연고의 수분으로 습식환경을 유지시킨다. 깨끗하게 정리된 창상에 연고를 도포 한 후, 폼드레싱을 하는 드레싱 방법이 가장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된다.

 

D. 생리식염수

창상을 닦아내는 용도로 사용한다. 감염되지 않은 창상에서는 베타딘의 사용없이 생리식염수로 닦아내주고 연고를 바르는 것으로 충분하다.

 

드레싱 제제의 선택

A. 삼출물의 양에 따라

i. 마른 창상 : 습식환경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바셀린거즈나 연고를 도포한 후, 폼 드레싱을 시행하거나, 창상 위로 하이드로겔이나 하이드로콜로이드를 이용한 드레싱을 시행한다.                                

ii. 삼출물이 많은 창상 : 폼이나 알지네이트 제재를 이용한다.

 

B. 괴사조직의 유무에 따라

i. 괴사조직을 녹일 수 있는 하이드로콜로이드나 하이드로겔을 이용하여 드레싱을 시행한다.

 

C. 감염의 유무에 따라

i.   항균작용이 있는 실버제재를 포함시키거나 상처에 연고를 도포하여 드레싱을 시행한다.

ii. 감염의 원인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감염의 원인을 제거해야 하며, 농이 있으면 배농을 시행해야 한다.

 

 변연절제술 방법

A. 외과적 변연절제술 (Surgical debridement)

i. Knife를 이용하여 necrotic tissue healthy tissue가 나올 때 까지 제거하는 방법이다.                               

ii. Necrotic tissue만 제거한다면 통증이 없으나, 정상조직도 일부 함께 제거되기 때문에 국소마취가 필요하다

iii. 적절한 제거 후에는 건강한 조직과 출혈이 동반되기 때문에, 삼출물을 대비한 폼 드레싱이 필요하다


Eschar debridement Callus debridement

 

B. 자가용해 변연절제술 (Autolytic debridement)

i.  몸이 가진 효소와 습기를 통해 necrotic tissue를 제거하는 방법이다.

ii. 하이드로콜로이드와 하이드로겔을 통하여 드레싱을 시행한다

iii. Necrotic tissue만 선택적으로 제거되기 때문에 통증은 거의 동반되지 않는다.

iv. 나이가 많거나 자가면역에 문제가 있는 경우엔 효과적으로 변연절제술이 되지 않는다.

 

C. 효소 변연절제술 (Enzymatic debridement)

i. Collagenase를 포함한 제품을 이용하여 변연절제술을 시행하는 것이다.

ii. Autolytic debridement가 수동적 변연절제술 이라면, Enzymatic debridement Autolytic에 비하여 능동적이고 빠르게 이루어진다.

Enzymatic debridement Eschar crosshatching slit incision을 넣어 autolytic or enzymatic debridement가 용이하게 한다.

 

D. 기계적 변연절제술 (Mechanical debridement)

i.  Soft abrasion debridement

A. 거즈나 알지네이트 드레싱을 때면서 표면에 붙어있지 않은 debris를 제거하는 것

B.  Wound margin에서 epibole 형성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ii. Hydrotherapy

A. Whirlpool – cross contamination으로 최근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B. Pulsatile lavage with suction – 물을 이용한 debridement

C. Wet to dry dressing – Non selective debridement를 한다

D. Low-frequency ultrasound energy


Versaget (hydrosurgical) debridement Wet to dry debrid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