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작성하고 있는 진료지침 내용을 첨부합니다.(영어가 많습니다.) 관리자에 의해서 삭제될 것 같은 사진은 지웠습니다.
욕창에 관한 꽤나 심도있는 내용들입니다. 혹시 지운 사진이 궁금하신 분은 쪽지 부탁드립니다. 그냥 읽으시면 어려울 것이고 다른 파트를 읽고 오시면 도움이 많이 될 것 같습니다.
2021.08.18 - [성형외과] - 창상 드레싱 방법과 변연절제술의 종류
창상 드레싱 방법과 변연절제술의 종류
2021.07.08 - [성형외과] - 상처와 드레싱 2 (드레싱 재료와 방법) 상처와 드레싱 2 (드레싱 재료와 방법) 오늘은 드레싱 재료와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읽기 전에 기본이 되면서 가장 중요한
faithfull-medicine.tistory.com
1. 욕창의 정의
압력, 전단력에 의해 발생한 피부 또는 하부조직의 국소적인 손상
2. 욕창의 원인
i. 압력 (Pressure)
모세혈관폐쇄압의 2배가 넘는 압력(70mmHg)을 2시간 이상 받으면 불가역적인 ischemic injury가 가능하다
ii. 마찰력 (Friction)
Abrasion, bulla formation 등 skin injury 가능하다.
iii. 전단력 (Shearing force)
Shearing force은 subcutaneous layer의 vascular injury에 영향을 줄 수 있다.
iv. 습도 (Moisture)
v. 영양 결핍 (Nutrient insufficiency)
vi. 신경 손상 (Neurological injury)
3. 욕창의 분포
i. Supine position에서는 Sacrum, heel에 호발한다
ii. Sitting position에서는 Ischial tuberosity에 호발한다.
3. 증상 / 진단
① 욕창의 분류
NPUAP (National Pressure Ulcer Advisory Panel) 로 분류한다.
![]() |
피부만 살짝 까진 수준 |
Stage I : Intact Skin with nonblanchable redness of a localized area | |
![]() |
피부에서 진피층이 노출된 경우 |
Stage II : Partial-thickness loss of dermis | |
![]() |
진피층 하부의 지방층이 노출된 경우 |
Stage III : Full thickness tissue loss : subcutaneous fat visible but not bone, tendon or muscle | |
![]() |
지방층을 넘어, 뼈나, 인대, 근육이 노출된 경우 |
Stage IV : Full thickness tissue loss with exposed bone, tendon or muscle | |
![]() |
정확한 판단이 안되게 가피나 슬러지가 형성된 경우 |
Unstageable sore : Full thickness tissue loss in which the base of the ulcer is covered by slough or eschar |
② 욕창의 위험도 평가
Branden scale로 total socre(6-23)에서 9점 이하를 high risk로 본다
③ 환자의 평가
i. 욕창의 평가 – ‘창상관리-창상의 평가’ 에 맞추어 평가한다
ii. aboratory finding
1. Albumin과 prealbumin을 통해 nutrient을 평가한다
2. ESR/CRP/WBC를 통해 inflammation 여부를 확인한다
iii. Osteomyelitis
1. MRI – noninvasive method지만 inflammation으로 정확한 확인은 어렵다.
2. Bone biopsy – stage IV sore에서 osteomyelitis를 확인한다.
4. 치료
① 비수술적 치료
i. 드레싱 & 죽은조직제거술
욕창의 stage I과 stage II에서 드레싱을 통한 완치를 기대해볼 수 있다. 그러나 stage III가 넘어가는 경우 드레싱만으로 완치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이러한 경우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으나, 욕창의 경우 수술 후 재발할 확률이 40%가 넘기 때문에 수술적 이득과 위험성을 판단하여 수술을 통한 이득이 많을 경우에는 수술을 시행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보존적 치료로 드레싱을 시행한다.
1. 죽은조직제거술 (Debridement)
A. Surgical debridement
가) Tool – Scalpel, Scissor, curret
나) 장점 – 빠르다, 선택적으로 가능하다
다) 단점 – 출혈가능성, 통증, 전문성이 요구된다.
B. Autolytic debridement
가) Tool – Hydrocolloid, Hydrogel
나) 장점 – 통증이 없다, 전문성이 요구되지 않는다.
다) 단점 – 느리다, 짓물이 많은 경우 힘들다
C. Enzymatic debridement
가) Tool – Coolagenase(Santyl®)
나) 장점 – 선택적이다, 전문성이 요구되지 않는다
다) 단점 – 느리다, 특정 조건에서 가능하다, 비싸다
D. Mechanical debridement
가) Tool – Wet to dry, Pulsatile lavage
나) 장점 – 쉽다, 전문성이 요구되지 않는다
다) 단점 – 비선택적이다, 통증, 노동집약적이다
2. 드레싱
ii. 음압치료
125 mmHg negative pressure를 continuous or intermittent로 시행한다.
iii. 압력의 완화
1. Support surface : Mattress, Bed
![]() |
Cross-section of support surface (Hill-Rom® P500 Therapy Surface Mattress Replacement System) |
![]() |
Alternating pressure, low-air-loss support surface (Synergy® Air Elite Mattress Replacement System) |
![]() |
Active support surface (Envision® E700 Wound Surface,) |
2. Heel & lower extremity protection
![]() |
Foam boots with suspened heel |
![]() |
Plantar flexed ankle |
![]() |
Heel and foot elevating pad |
3. Wheelchair cushion
4. Positioning cushion
iv. 영양의 회복
② 수술적 치료 – 수술적 치료 성형외과 전문의와 상담한다.
5. 예방 및 교육
① 자세변화 : 2시간 마다 체위변경을 기본으로 한다.
i. Supine position : 30’ Semi-Fowler position을 유지한다
ii. Decubitus position : 30’ 기울인 자세를 유지한다
② 압력의 완화 : ‘치료-비수술적 치료-압력완화’로 갈음한다.
③ 피부관리 : 드레싱을 통해 적절한 습도를 유지한다.
내용이 방대하지만 조금씩 따라오다보면 욕창에 대해서 완벽히 이해 할 수 있습니다.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도 '보람찬 하루를 향해' 화이팅
'성형외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칼로덤 (최신 드레싱 제품1) (0) | 2021.08.24 |
---|---|
보톡스의 원리와 적용 (0) | 2021.08.24 |
창상 드레싱 방법과 변연절제술의 종류 (0) | 2021.08.18 |
쌍꺼풀이 여러개가 잡혀요. (feat. 겹꺼풀, 삼꺼풀) (0) | 2021.08.11 |
쌍꺼풀 수술 후 눈꺼풀 흉터는 왜 생기는 것일까요? (0) | 2021.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