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파감염 2

코로나 백신 부스터샷 (feat. 돌파감염)

오늘은 백신 부스터샷에 대해서 공부해보겠습니다. 1. 백신 부스터샷이 무엇인가요? 백신을 1회 맞아야 하는 것(얀센)을 2회, 3회 등 더 맞고 백신을 2회 맞아야 하는 것(AZ, 화이자, 모더나)을 3회, 4회 등 추가접종 하는 것 입니다. 2. 코로나 백신을 맞으면 코로나에게서 영원히 해방될 수 있는 것일까요? 정답은 아닙니다 그렇기 때문에 추가접종(부스터샷)이 있는 것 입니다. 백신은 바이러스와 같은 병원체를 우리 몸에 넣어 면역반응을 이용해 항체를 생성토록 유도하는 것 입니다. 항체를 생성하는데는 기억 B 세포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코로나가 우연히 우리 몸에 들어왔을 때, 가지고 있는 항체가 즉각적인 1차 대응을 하게 되고, 기억 B 세포가 병원체를 기억하고 있다가, 추가적으로 항체를 뿜어내서..

백신 맞았는데 감염될 수 있나요? (백신과 돌파감염)

제 친구가 돌파감염을 당했습니다. AZ 백신을 맞았는데도 불구하고 돌파감염이 생겼다는 소식이 매우 아쉬웠으며, 저 또한 AZ 백신을 맞았기 때문에 언제나 돌파감염의 가능성이 있겠다는 경각심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돌파감염에 대해서 공부해보겠습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와 애리조나대(University of Arizona)에서 미국 6개 주 8개 의료기관 종사자 3,975명이 매주 보고한 건강 상태를 분석해 발표한 NEJM에 실린 논문을 참고했습니다. 참고로 미국사람들은 AZ를 맞지 않아서 자료가 화이자와 모더나만 있습니다. 화이자 (BNT162b2 vaccine)1차 접종자 80% / 2차 접종자 93% 모더나 (mRNA-1273 vaccine)1차 접종자 83% / 2차 접종자 82% 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