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에서 일어난 일

코로나 백신 부스터샷 (feat. 돌파감염)

보람찬 하루를 향해 2021. 8. 4. 11:19
728x90

오늘은 백신 부스터샷에 대해서 공부해보겠습니다.

 

1. 백신 부스터샷이 무엇인가요?

백신을 1회 맞아야 하는 것(얀센)을 2회, 3회 등 더 맞고

백신을 2회 맞아야 하는 것(AZ, 화이자, 모더나)을 3회, 4회 등 추가접종 하는 것 입니다.

 

 

2. 코로나 백신을 맞으면 코로나에게서 영원히 해방될 수 있는 것일까요?

 

정답은 아닙니다

 

그렇기 때문에 추가접종(부스터샷)이 있는 것 입니다.

 

백신은 바이러스와 같은 병원체를 우리 몸에 넣어 면역반응을 이용해 항체를 생성토록 유도하는 것 입니다. 

항체를 생성하는데는 기억 B 세포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코로나가 우연히 우리 몸에 들어왔을 때, 가지고 있는 항체가 즉각적인 1차 대응을 하게 되고, 기억 B 세포가 병원체를 기억하고 있다가, 추가적으로 항체를 뿜어내서 코로나를 물리치게 되는 것 입니다.

 

그러나 코로나의 1차 침공에 대응하는 항체의 양과 이후에 항체를 뿜어낼 수 있는 기억 B 세포의 반응정도가 시간에 따라서 줄어든다면 어떡할까요..?

 

이에 대한 논문을 살펴봅시다.

 

두가지 논문을 볼 것인데

1. 코로나에 감염된 이후 항체가와 면역반응이 떨어지는 정도 => 결론은 8개월 까지 잘 유지

2. 백신(모더나) 맞고 항체가가 떨어지는 정도 => 결론은 6개월(209일)까지 잘 유지

 

코로나 걸린사람들의 항체와 B cell 면역반응의 시간에 따른 변화

조금씩 떨어지지만 8개월까지는 중화항체와 B cell의 반응이 잘 유지된다는 내용입니다.

 

아래 논문은 백신 맞고 중화항체의 양을 비교한 것으로 좀 더 우리가 원하는 결과과 비슷합니다.

@NEJM 모더나 연구
@NEJM

- 항체의 변화정도입니다. (3가지 방법으로 측정하였는데, 수용체에 결합하는 항체, 가짜바이러스 중화항체양, 생바이러스 중화항체양으로 측정하엿습니다. )
- 1달(28일)간격으로 2차례 백신접종을 해서 항체가가 두차례 확 증가하는 것이 보입니다
- 6개월이 지나도록 (209일), 항체가가 충분한 양(점선) 이상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 항체가가 조금씩 감소하고 있습니다만 고령층에서 좀 더 두드러집니다.

 

조금씩이지만 중화항체와 면역반응은 시간의 지남에 따라 조금씩 떨어질 것입니다.

 

그렇다면 백신 접종을 맞고 어느정도 지났을 때 추가접종이 필요할까요?

이에 대한 논문은 아직 밝혀진 바가 없습니다. 많은 국가에서는 1년 간격을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주요국 부스터샷 예정

영국은 부스터샷을 예정했고, 일본은 검토중입니다.

 

3. 코로나 델타변이와 부스터샷이 연관이 있을 수 있나요? (돌파감염)

코로나 바이러스도 진화를 거듭하면서 변이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현재 가장 기승을 부리는 것을 델타변이 입니다. (2021-08-04 기준)

 

돌파감염(백신을 맞고 코로나 감염되는 것)은 백신의 중화항체 양이 적은 사람들에게서 더 많이 발생합니다.

 

근거입니다.

@NEJM

 

@NEJM

돌파감염을 당한 사람과 대조군 사이에 항체 역가의 차이가 보입니다.  Breakthrough case 그룹이 Control 그룹보다 항체가가 낮습니다. 

@NEJM

중화항체(Neutralizing Antibody Titer)가 낮을 수록 Ct Value가 낮습니다
=> 중화항체가 낮을수록 더 병원체의 양이 많습니다.

 

Ct value에 대한 내용은 이곳을 참고하세요

2021.07.30 - [응급실에서 일어난 일] - 코로나 검사의 원리 (PCR, 신속 PCR, 신속항원 검사(자가검사키트))

 

코로나 검사의 원리 (PCR, 신속 PCR, 신속항원 검사(자가검사키트))

오늘은 코로나 검사의 원리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병원에서 감염이 의심될 때 피검사를 통해 '균을 배양'한다는 이야기를 들어보셨을 것 입니다. 실제로 결핵이나, 각종 균 감염은 배양을 통해

faithfull-medicine.tistory.com

 

최종 결론입니다

1. 백신 맞아도 항체가는 시간에 따라서 조금씩 떨어진다(최소 6개월 까지는 잘 유지)

2. 돌파감염은 항체가가 낮은 사람에게서 잘 발생한다

3. 돌파감염을 막기 위해서는 항체가를 높은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좋다

4. 따라서 백신 부스터는 필요할 수 있다.

 

백신 수급과 국가간 백신 빈부격차에 대한 이야기는 시간이 나면 다루겠습니다.

 

https://www.khan.co.kr/world/world-general/article/202108031519001

 

독일·영국도 3차 접종 예고…백신 싹쓸이 2라운드 현실로

전 세계 코로나19 백신 물량을 선점한 부국들이 ‘부스터 샷’으로 불리는 3차 접종에 돌입하고...

www.khan.co.kr

 

우리나라도 서둘러 백신 많이 구해와서(미국이 승인한 것으로..) 많은 사람이 코로나에게서 해방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코로나가 얼른 종식되기를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