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에서 일어난 일

코로나 백신과 혈전증 (feat. 아스트라제네카)

보람찬 하루를 향해 2021. 8. 3. 22:23
728x90

안녕하세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은 저도 가장 걱정했었던, 혈전증에 대해서 공부해보겠습니다. 

 

1. 혈전증이란?

 

혈전증

생체 내부를 순환하는 혈액 일부가 혈관 안에서 덩어리로 굳어 버리는 것 입니다.

동맥과 정맥에서 각각 혈전증이 발생 할 수 있습니다.

동맥에서 생긴 대표적 혈전증이 뇌경색(뇌로 가는 혈관이 막힌 경우)과 심근경색(관상동맥이 막힌 경우)가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아스트라제네카을 맞고 생긴 혈전증은 대부분 정맥에 생긴 경우 입니다.


 

근거입니다. (전문적이니 스킵하셔도 됩니다.)

 

더보기

BMJ에서 발표된 28만명 분석 자료, 코호트 분석...

@BMJ

-Arterial event (동맥 문제) - 발생비율의 큰 차이 없습니다.

-Venous event (정맥 문제) - 1.97배 증가 (100만명당 110명 추가 발생)

                                   -  뇌정맥혈전증(CSVT)는 백신 접종군에서 20.25배 높음 (100만명 당 25명 추가 발생)

- mortality (사망률) - 백신 맞은 군이 더 낮음

 

@BMJ

-Thrombocytopenia (혈소판 감소증) : 백신 접종군에서 1.52배

-Bleeding events (출혈) : 백신 접종군에서 1.23배

 

잘 생기는 부분은

 

1. 뇌정맥 (Sinus, CSVT)

2. 깊은 다리 정맥 (DVT)

3. 복부 정맥 - (Ischemic colitis, Splenic vein thrombosis)

4. 깊은 다리 정맥이 이동해서 작은 혈관을 막아 생긴 폐동맥색전증 (PTE, 혈전이 혈관을 타고 이동해서 막아 버린 것을 색전 이라고 부릅니다.)

 

입니다.

 

2. 왜 발생하나요?

 

AZ 백신 접종을 하면 혈소판(피를 뭉치게 하는 혈액 성분)이 활성화 되어, 혈전이 만들어진다.

 

아래 내용은 전문적인 내용임으로 스킵하셔도 됩니다.

더보기

이론 1.

1. AZ 백신 접종 이후 혈소판의 FcγRIIa 수용체 (CD32a)가 활성화 된다.

2. 면역 복합체(Immune complex) or 옵소닌화 세포(Opsonized cell) 인식이 활성화가 된다.

3. 혈소판 활성화로 체내 혈전 생성이 된다.

 

 

그렇다면 여기서 하나 더 가봅시다. 왜 AZ에서만 FcγRIIa 수용체 (CD32a)가 활성화가 될까요?

===============아직 확실히 밝혀진 것은 없습니다.===============

1. 침팬스 아데노바이러스 전달체를 이용하기 때문이다. (J Virol 2007;81:4866-4871.)

2. 전달체 백신이기 때문이다. (얀센, 아스트라제네카) / 실제로 얀센에서도 혈전증이 발견되었습니다.

3. DNA 백신이기 때문이다. (모더나, 화이자에서는 나타나지 않음)

 

이론 2. (이론 1과 연장선 입니다..)

헤파린 유도 저혈소판증 (Heparin induced thrombocytopenia, HIT)

 

 

@NEJM
@NEJM

AZ 후 11명의 사례분석입니다.

9명 여자 / 2명 남자

평균 나이 36세(22~49세)

 

9명 뇌정맥혈전증 (81.8%)

3명 비장정맥혈전증 (27.2%)

3명 폐동맥 혈전증 (27.2%)

4명 기타 다른 부위 혈전

5명 파종혈관내응고

 

6명 사망

 

혈전증 의심환자 28명 PF-4 heparin antibody (+)

혈전증 발생 환자 헤파린 투여 과거력 (-)

 

@NEJM

  헤파린 투여를 받은 적 없는 환자들이 헤파린 유도 저혈소판혈증에서 나타나는 PF-heparin antibody가 양성으로 나왔다는 것 입니다.

결과적으로 혈전증이 여기저기서 나타나면서, 혈소판이 혈전(피떡)이 되면서 혈소판은 감소합니다. 

 

3. 어떤 증상이 있는가?

 

폐동맥색전증 - 호흡곤란, 빈맥, 혈압저하, 흉통

뇌정맥혈정증 - 두통, 몸의 운동/감각 기능 소실

비장정맥혈전증 - 복통

깊은 다리 정맥 혈전증 - 다리통증, 다리부종

 

혈전이 생긴 위치에 따라 증상이 나타납니다.

 

4. 누가 발생하는가?

 

a. 젊은층(18-44세)

b. 여성

 

근거입니다. 전문적이니 스킵하셔도 됩니다.

 

더보기

BMJ에서 발표된 28만명 분석 자료, 코호트 분석...

 

@BMJ

- 18-44세는 정맥혈전증 발생률이 2.99배 / 45-65세는 정맥혈전증 발생률이 1.58배 => 젊은층이 더 위험

- 여성 2.41배 / 남성 0.67배(의미 없음.) => 여성이 더 위험

 

 

5. 어떻게 진단하는가?

 

왜 발생하는가에 연장선 입니다. 

a. 파종혈관내응고(DIC) profile : CBC/DC, PT/aPTT, BT, Fibrinogen, D-dimer

b. PF-Heparin antibody ELISA

c. CT angiography

 

6. 어떻게 치료 하는가?

 

a. 면역글로불린 (IVIG) - FcγRIIa 수용체 (CD32a) 기능 역전

b. 항응고치료 - 헤파린은 헤파린 유도 저혈소판혈증과 연관이 있음으로 금기입니다.

c. 각각의 혈전이 생긴 위치에 따른 수술

 

7. 맞는게 나은가?

 

AZ보다는, 모더나와 화이자를 맞을 수 있으면 맞으세요.  미국에서 승인해준 것을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