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응급실에 뱀에 물려서 환자들이 내원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성형외과 전문의로서, 뱀에 대해서 아는 것이 매우 적었기 때문에, 여기저기 찾아보며 공부하게 되었습니다.
환자들이 궁금해 했던 내용부터 제가 궁금했던 내용까지 정리하겠습니다.
1. 제가 물린 뱀은 독사인가요? 아닌가요?
하지만 대체적으로는 자국 두개만 생겨서 오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자국 두개만 가지고는 정확히 독사인지 무독사인지 구분하기 어렵습니다.
촘촘히 자국이 생기면 무독사라고 생각해볼 수 있지만, 자국 두개만 있다면 독사를 배제하기는 어렵습니다.
일단 국내에 독사는 4종 입니다.
살모사 - 내륙지방 전체적 분포
쇠살모사 - 전국적
까치살모사 - 강원도, 경상북도 산간
유혈목이 - 전국적
살모사별 독성의 세기는
쇠살모사 > 까치살모사(칠점사, 7걸음 떼기전에 죽는다.) > 살모사 > 유혈목이 입니다.
뱀을 잡아오지 않고서는, 물리고 도망간 뱀을 가지고 어떤 뱀인지 알 길은 없습니다. 독사라 해도 증상만으로 그 독사가 어떤 독사인지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은 없습니다. 독사들이 가지고 있는 독은 비슷해서, 증상도 비슷합니다.
의사는 독사 전문가가 아닙니다 ㅜㅜ
2. 독사에게 물리면 죽는 것인가요?
치료 잘 받으면 죽을 일은 거의 없습니다. 일단 독사에 물렸다고 해서 전신적으로 문제가 되는 경우는 드믈며, 보통 뱀에 물리면 걱정되서 응급실로 오게 되고 검사와 해독제를 함께 맞으면 죽을 위험은 거의 없다고 보면 됩니다. 하지만 독사에 물리고 방치할 경우엔 위험해 질 수 는 있습니다.
#병원 오세요. 그냥 자국 두개만 있다고 무시하는 분들 많이 봤습니다..
3. 뱀에 물렸을 경우엔 어떤 증상이 있나요?
물린 곳 : 통증, 부종, 압통, 근육괴사, 구획증후근 등등 있습니다. 보통 30분 이내 국소증상은 시작됩니다만, 환자에 따라서 독성이 남아서 지속적인 작용을 한다면 시간이 지나서 발현될 수도 있습니다.
전신 증상 : 응고기능장애(피가 멎지를 않습니다.), 장기손상, 신경독증상(혀끝 입맛이 이상한 느낌부터 어지럼증, 호흡장애, 복시 등 발현 가능합니다)
4. 뱀에 물리면 즉시 어떻게 해야 하나요?
사실 해야 할 것보다 하지 말아야 할 것들이 많습니다만(민간요법이 대부분 잘못되어있습니다.) 일단 큰 틀을 가지고 설명드리겠습니다.
전신증상이 일어날 확률은 드믑니다. 오히려 국소증상으로 부종이 심해서 구획증후군으로 갈 위험성을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구획증후군이란 쉽게 설명하면 파이프는 한정되어 있는데 안에 구조물들이 팽창하다보니 구조물에 압력을 받는 것 입니다. 어디 한군데를 따주지 않으면 압력이 점점 커져서 내부는 고압상태에 되고 고압상태에 놓인 조직들은 숨을 못쉬어서 죽게 됩니다. (혈액공급문제)
해야 할 것
1. 장신구 제거 -> 장신구가 조직의 팽창을 방해하면 구획증후군이 생깁니다
2. 물린 부위 세척 -> 독성물질을 씻어서 내보냅니다.
3. 물린 부위 고정 -> 움직이지 않게 해야 통증이 적습니다.
4. 병원으로 이동
하지 말아야 할 것
1. 입으로 빨아서 빼낸다 -> 진짜 하지 마세요. 제발.. 오히려 입안에 상처가 있으면 같이 중독되는 거고, 입 안의 균이 들어갑니다
2. 불로 지지기 -> 하지마세요 제발.
3. 지혈대 -> 물린 부분에서 근위부를 조여서 독이 심장으로 안오게 한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하지마세요. 오히려 구획 증후군이 생깁니다.
4. 된장, 담배 바르기 -> 하지마세요 제발.
5. 술 복용 -> 하지마세요 제발..
5. 응급실에서 시행하는 환자 평가
1. Traditional snake bite severity grading system
Moderate부터 해독제를 사용합니다.
Moderate는 물린부위에서 6~12inch (15cm)정도 부기가 올라오고, 피검사 결과 이상이 보이는 것 입니다.
2. Local effect scoring system(LES)
통증, 부기, 출혈반, 부기나 출혈반이 생기는 시간을 통해서 점수평가를 합니다.
9점 이상시에 해독제를 사용합니다.
6. 응급실에서 시행하는 피검사
기본 Lab.을 모두 시행합니다.
CBC, OT/PT, PT/aPTT/BT, BUN/Cr, Fibrinogen, D-dimer, AT-III, FDP
PT/aPTT가 늘어지는 것은 내원 당시에는 정상인 경우가 많습니다. (2~3일에 보통 보임)
혈소판 감소 또한 내원 당시에는 정상이 경우가 많습니다. (2~3일에 보통 보임)
7. 치료
치료는 입원치료를 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뱀의 종류를 모르는 경우에는 1~2일 정도 입원치료 하고 Lab f/u을 지속적으로 하여 문제 없음을 확인하고 퇴원시킵니다. 문제가 생기는 경우 증상에 맞추어 치료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1) 해독제(항사독소) - 코박스
유혈목이를 제외한 독사류에 모두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쓰니는 무슨 독사인지 모르기 때문에 증상 보면 투여합니다..)
Traditional snake bite severity grading system에서 moderate이상 LES에서 9점 이상일 경우 사용합니다.
6000U을 주입하며(SQ, IV모두 가능), 아나필락시스 가능성이 있으므로, 반응검사를 시행하고 줍니다.
2) 파상풍 주사
예방적으로 줍니다.
3) 응고이상장애치료
응고이상장애가 의심되면 (FDP, D-dimer 등 Lab이 깨지기 시작하면) 적극적으로 치료합니다.
4) 통증관리
AAP, morphine계열을 사용하며, NSAID나 aspirin은 bleeding risk가 올라갈 수 있으므로 주의합니다
5) 스테로이드, 항히스타민
필요없습니다.
6) 항생제
감염 빈도는 실제적으로 낮아 줄 필요 없습니다. (저는 일단 상처가 생겼고 두려움이 있어 줍니다..)
세줄요약
1. 뱀에 물리면 바로 병원
2. 뱀에 물리면 민간요법 X
3. 병원가서 하루 정도 입원치료 (증상없어도 입원하는 것이 안전!)
뱀에 물려 오신 분들을 치료하기 위해 이것저것 공부하며 적어보았습니다.
모두 조심히 안전한 생활 영위하기를 바랍니다.
'응급실에서 일어난 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0427 (0) | 2022.04.27 |
---|---|
벌레에 물렸어요. (지네, 벌..) (0) | 2021.08.26 |
모더나, 화이자 (mRNA 백신)과 혈전증 (0) | 2021.08.19 |
코로나 백신 접종과 약 복용 (고혈압, 협심증, 당뇨, 면역억제제, 아스피린) (0) | 2021.08.19 |
제 발은 무좀인가요..? (0) | 2021.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