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44

쌍꺼풀이 여러개가 잡혀요. (feat. 겹꺼풀, 삼꺼풀)

안녕하세요 오늘은 쌍꺼풀이나 상안검 수술 이후 발생하는 여러개의 쌍꺼풀 ( 속칭 삼꺼풀, 겹꺼풀 등으로 불립니다. 여기서는 겹꺼풀 이라고 부르겠습니다.) 에 대해서 공부해 보겠습니다. 1. 겹꺼풀이 무엇인가요? 쌍꺼풀 선 위로 또다른 쌍꺼풀 선이 여러개가 있는 경우입니다. 2. 겹꺼풀의 원인이 무엇인가요? 쌍꺼풀의 발생 원리를 파악한 뒤 이것이 두개 이상 발생 하는 이유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2021.06.28 - [성형외과] - 쌍꺼풀의 원리 (쌍꺼풀, 무쌍, 속쌍꺼풀의 원리) 쌍꺼풀의 원리 (쌍꺼풀, 무쌍, 속쌍꺼풀의 원리) 쌍꺼풀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서 있었던 쌍꺼풀이 없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먼저 쌍꺼풀의 발생 원리입니다. 눈을 떴을 때 왼쪽..

성형외과 2021.08.11

쌍꺼풀 수술 후 눈꺼풀 흉터는 왜 생기는 것일까요?

쌍꺼풀 수술한 환자들은 쌍꺼풀이 접히는 라인을 따라서 작은 라인이 그려지게 됩니다. (수술을 하지 않은 분도 오랜 시간이 지나면 약하게 라인이 그려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라인이 푹 들어가 보이는 것을 눈꺼풀 흉터 (함몰흉) 이라고 이야기 합니다. 수술을 한 환자들은 함몰흉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들이 본인의 눈을 볼 때는, 눈을 뜨고 보기 때문이지요... 흉터는 눈음 감은 순간에 두드려져 보이게 됩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함몰흉의 원인과 치료 방법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1. 함몰흉은 왜 생기나요? a. 전검판 조직의 과다 절제 검판앞 조직은 지방, 안륜근, 피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검판 앞 조직인 지방과 안륜근을 과다 절제를 한 후, 피부를 모아 봉합을 하게 되면(특히 안륜근), ..

성형외과 2021.08.11

소세지눈 어떻게 치료해야 하나요..?

1. 소세지 눈이란 무엇인가요? 쌍꺼풀 라인 아래의 상안검이 두툼하게 나타나는 것을 말합니다. 두툼하게 나타난다는 것은 쌍꺼풀 눈 밑의 피부가 좁으면서 두툼할수도 있고, 크면서 두툼할 수도 있겠습니다. 2. 소세지눈은 왜 생기나요 소세지눈의 발생 이유를 알려면 쌍꺼풀의 원리를 알아야 합니다. 2021.06.28 - [성형외과] - 쌍꺼풀의 원리 (쌍꺼풀, 무쌍, 속쌍꺼풀의 원리) 쌍꺼풀의 원리 (쌍꺼풀, 무쌍, 속쌍꺼풀의 원리) 쌍꺼풀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서 있었던 쌍꺼풀이 없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먼저 쌍꺼풀의 발생 원리입니다. 눈을 떴을 때 왼쪽 그림은 정 faithfull-medicine.tistory.com 쌍꺼풀이 높이는 쌍꺼풀의 깊이와는 다..

성형외과 2021.08.07

제 발은 무좀인가요..?

응급실에서 일하다 보니 무좀 환자가 왔습니다. 무좀환자는 일단 피부과질환입니다. 도서지역에는 피부과가 없을텐데 어떻게 치료해야하나 고민되는 분들 많으실 것 입니다. 간단히 설명드리겠습니다. 1. 무좀이 뭔가요? 손톱 혹은 발톱 주변으로 곰팡이가 낀 것입니다. 이 곰팡이는 우리 몸의 각질을 영양분으로 하기 때문에, 피부, 머리카락, 수염 등에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4가지로 타입을 나누는데, 위치에 따라서 이름 붙입니다. 원위측부손발톱밑형 손발톱진균증 - 손톱, 발톱 끝만 감염 된 것 백색 얕은형 손발톱 진균증 - 표면이 하얗게 변한 것 근위손발톱밑형 손발톱진균증 - 손발톱의 가장 안쪽 발달부분이 감연 된 것 전이영양성 손발톱 진균증 - 보통 칸디다균에 의한 감염.. 칸디다균(전이영양성)이나 근위손발톱밑..

발가락의 티눈 (진단, 치료, 감별질환)

안녕하세요. 오늘은 저희 병원에 많이 오는 티눈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1. 티눈이란? 피부가 기계적인 자극(압력이 계속 가해져서), 작은 범위에 걸쳐 생긴 각질이 증식하여 피부 내에 박혀 있는 것 입니다. 2. 티눈의 특징 a. 좁은 면적에 걸쳐 압력을 받아 각질이 생성된 것이다. b. 신경이 분포하는 진피까지 각질이 파고 들어가서 핵을 형성한다 c. 누르면 신경이 눌려서 따갑고 통증이 심하다 d. 물렁물렁하면 연성티눈, 딱딱하면 경성티눈 이라고 한다. 3. 감별질환 맨눈으로 봐서는 감별이 잘 되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서로 구별할 수 있나요? 세세한 부분을 들어가기 전에 정답부터 말씀드리겠습니다. 굳은 각질을 깍아내면 알 수 있습니다. a. 좁은 면적에 안에 뭔가 박혀 있는 것 같다 = 티눈..

성형외과 2021.08.06

코로나 백신 부스터샷 (feat. 돌파감염)

오늘은 백신 부스터샷에 대해서 공부해보겠습니다. 1. 백신 부스터샷이 무엇인가요? 백신을 1회 맞아야 하는 것(얀센)을 2회, 3회 등 더 맞고 백신을 2회 맞아야 하는 것(AZ, 화이자, 모더나)을 3회, 4회 등 추가접종 하는 것 입니다. 2. 코로나 백신을 맞으면 코로나에게서 영원히 해방될 수 있는 것일까요? 정답은 아닙니다 그렇기 때문에 추가접종(부스터샷)이 있는 것 입니다. 백신은 바이러스와 같은 병원체를 우리 몸에 넣어 면역반응을 이용해 항체를 생성토록 유도하는 것 입니다. 항체를 생성하는데는 기억 B 세포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코로나가 우연히 우리 몸에 들어왔을 때, 가지고 있는 항체가 즉각적인 1차 대응을 하게 되고, 기억 B 세포가 병원체를 기억하고 있다가, 추가적으로 항체를 뿜어내서..

우리 아이 (청소년, 소아)도 백신 맞아도 되나요?

대한민국 백신 접종 권장 연령은 18세 이상이다. 그렇다면 그 이하 연령은 어떻게 될까요..? 우리 아이들도 백신 맞아도 되나요? 먼저 말씀 드리면, 대한민국 접종 지침을 따라가세요. (18세 이상, 2021-08-04기준) 다만 저는 의학도로서 선진국(미국지침)을 소개해 드리고자 하며, 우리나라도 지침이 어떤 방향으로 전개될지에 대한 이야기를 하려는 것 뿐입니다. 미국은 12세 이상 연령에게 mRNA 백신 (화이자, 모더나) 접종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청소년에 대한 화이자 백신의 안정성과 효과에 대한 논문입니다. 12-15세 화이자 / 플라시보 16-25세 화이자 / 플라시보 를 각각 medication한 후 비교한 것입니다. - 12-15세 / 16-25세 각각의 그룹에서 플라시보 그룹보다 백..

임신 준비 중 인데 (임산부인데) 백신 맞아도 되나요?

결론부터 말씀 드리면 1. 맞아도 됩니다. 2. mRNA 백신(화이자, 모더나)를 맞으세요 전달체 백신인 아스트라제네카의 합병증인 혈전생성증 발생이 젊은 여성에게서 많이 발생한다는 글을 전에 포스팅 한 적이 있습니다. 2021.08.03 - [응급실에서 일어난 일] - 코로나 백신과 혈전증 (feat. 아스트라제네카) 코로나 백신과 혈전증 (feat. 아스트라제네카) 안녕하세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은 저도 가장 걱정했었던, 혈전증에 대해서 공부해보겠습니다. 1. 혈전증이란? 생체 내부를 순환하는 혈액 일부가 혈관 안에서 덩어리로 굳어 버리는 것 faithfull-medicine.tistory.com 1. 출산 이후엔 혈전증 발생 확률이 늘어난다는 점 2. AZ 백신은 젊은 여성에게서 혈전 생성증 발..

코로나 백신과 혈전증 (feat. 아스트라제네카)

안녕하세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은 저도 가장 걱정했었던, 혈전증에 대해서 공부해보겠습니다. 1. 혈전증이란? 생체 내부를 순환하는 혈액 일부가 혈관 안에서 덩어리로 굳어 버리는 것 입니다. 동맥과 정맥에서 각각 혈전증이 발생 할 수 있습니다. 동맥에서 생긴 대표적 혈전증이 뇌경색(뇌로 가는 혈관이 막힌 경우)과 심근경색(관상동맥이 막힌 경우)가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아스트라제네카을 맞고 생긴 혈전증은 대부분 정맥에 생긴 경우 입니다. 근거입니다. (전문적이니 스킵하셔도 됩니다.) 더보기 BMJ에서 발표된 28만명 분석 자료, 코호트 분석... -Arterial event (동맥 문제) - 발생비율의 큰 차이 없습니다. -Venous event (정맥 문제) - 1.97배 증가 (100만명당 110..

코로나 백신과 심근염 (feat. 코로나 백신 합병증, 모더나, 화이자)

안녕하세요 코로나 백신 주사를 놓다보면, 심근염, 심낭염에 대해서 질문을 주시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연일 보도되는 합병증에 대한 이야기들 (아스트라제네카와 혈전증, mRNA 백신과 심근염) 때문에 걱정이 생기기 때문일 것입니다. 많은 분들이 궁금해 하시는 내용을 답변하는 형식으로 하겠습니다. 1. 심낭염 or 심근염이 무엇인가요? 심장을 둘러싸는 막 (심막) 혹은 심장 근육에 염증이 생기는 것 입니다. 심막에 염증이 생기면 심낭염, 근육에 염증이 생기면 심근염이 됩니다. 2. 발생이유는 무엇인가요? 아직 정확히 밝혀진 것은 없습니다. 백신이 인체의 면역반응을 자극하여 심장에 염증세포가 달라 붙어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다른 백신에게서는 나타나지 않는데 mRNA 백신인 모더나, 화이자 에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