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형외과

눈 주변 구조물 3 (상안검 해부학 고급편)

보람찬 하루를 향해 2021. 7. 6. 16:22
728x90

안녕하세요. 오늘은 눈 주변 구조물 세번째 시간, 상안검 해부학 심화과정입니다.

저번에 배웠던 검판, 외안각 & 내안각 인대, 상안검거근에 대해서 궁금하시면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2021.07.02 - [성형외과] - 눈 주변 구조물 2 (상안검 해부학 고급편)

 

눈 주변 구조물 2 (상안검 해부학 고급편)

안녕하세요. 오늘은 상안검 해부학 심화과정을 포스팅을 하려고 합니다. 해부학인데 어려울 것이 무었이 있겠냐? 하시는 분들 계실 것 같은데, 맞습니다. 해부학은 사실 어려울 것은 없어요. 저

faithfull-medicine.tistory.com

오늘은 저번 시간에 이어서 뮬러근 > 안와지방 > 격막 > 안륜근 > 피부 에 대해서 각각 공부해 볼 예정입니다. 거두절미하고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1. 뮬러근 (muller muscle = superior tarsal muscle)

 

 뮬러근은 검판과 비슷하게 상안검을 위로 당기는 기능을 합니다. 상안검거근보다 안쪽 (눈쪽)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 뮬러근의 그럼 상안검거근과 어떤 기능적 차이가 있을까요? 

 

교감신경계의 영향을 받는 다는 것 입니다.

교감 신경계란 자율신경계로 무의식적으로 작용하게 됩니다. 갑자기 놀랐을 때 눈이 커지고 동공이 열리는 것은 바로 이 교감신경계가 작용해서 그런 것이지요. 우리가 눈을 무의식적으로 뜨고 감는 것과 상안검의 미세한 움직임을 결정하는 근육은 바로 이 뮬러근 입니다.

 

 

 

 

 

성형수술에서의 중요성은 무엇일까요?

 

눈을 뜨게 하는 상안검거근과 비슷하게 이 뮬러근을 접거나 당겨주게 되면, 눈꺼풀이 좀더 크게 떠지게 됩니다.

 

 

 오른쪽과 같이 뮬러근을 독립적으로 접는 수술을 뮬러근 주름술 이라고 하고, 경도의 안검하수가 있는 환자들에게 사용 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수술을 하는 입장에서는 경도의 안검하수에서 뮬러근만 접는다는 마음으로 수술을 진행하고 있지만 솔직히 뮬러근과 상안검거근 일부가 함께 접히는지, 뮬러근만 독립적으로 접히는지에 대해서 확신은 없습니다. 왜냐면 조직학적으로도 상안검거근 바로 밑에 딱붙어서 지나가기 때문에 그 사이를 보지 않으면서 감으로 실로 완벽하게 나누는 것은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둘다 접든, 하나만 접든 눈은 더 커지게 됩니다.

 

 

 

 

 

 

2. 안와지방 (orbital fat) & 격막(septum)

 

안와지방의 정확한 명칭은 격막 내부에 있는 지방만을 안와지방이라고 부릅니다. 하지만 여기서 배울 때는 상안검에 있는 지방을 하나 하나 뜯어볼 예정입니다.

 

 

 

 

우리가 안와지방이라고 하면, a와 b 사이의 격막(septum)을 두고 b를 안와지방이라고 합니다.

 

a.는 앞의 안륜근(Orbicularis oculi) 뒤에 있는 지방이라고 해서 근육 뒤 지방 정도로 부르고, 양이 매우 적습니다.

 

b.는 안와지방이라고 부르고 반짝반짝 빛나는 격막 뒤에 존재하고 두툼한 눈에서 수술을 할 때 point가 되는 부분 입니다.

 

 

 

 

 

 

 

 

 

 

 

 

 

 

a 부분은 상안검에서 눈썹 부위에서는 양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그 밑에서는 눈치 채기 어려울 정도로 양이 적습니다. 수술을 하다보면 근육층이랑 사실 구분이 잘 가지는 않습니다. 그렇다면 여기서 포스팅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꺼진 눈에서 지방이식이나 필러를 주입할 때, 타겟이 되는 위치이기 때문입니다. 

 

 

 

 

 

 

 

 

 

안와지방에 넣게되면 격막까지 빵빵해지면서, 눈이 오르고 내리는 데 문제가 될 수 있으며, 격막 안에는 혈관이 많이 지나가기 때문에 위험합니다. 따라서 거의 표면에 진피 필러나 자가지방 이식을 통해 꺼진 눈을 치료할 수 잇습니다.  

 

 

 

 

 

 

 

 

 

 

 

 

b 부분은 안와지방입니다. 격막을 살짝 드러내면, 두툼한 지방이 보입니다. 

 

 

 

 

 

 

 

 

 상안검의 안와지방은 총 두 덩어리 인데,

1. 코쪽 덩어리

2. 가운데 덩어리로 나눌 수 있습니다.

외측에는 눈물샘이 존재합니다.

 

코쪽 덩어리는 좀더 하얀색 지방입니다. 수술 도중에 격막을 살짝 가르면 색으로 가운데 지방과 코쪽 지방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코쪽 덩어리 자체가 검판앞까지 많이 내려와 있기 때문에 검판 앞 지방은 코쪽 부분이 더 많습니다.

 

 

 

 

 

 

 

 

 

 

 

 

추가적으로 이 안와지방은 동양인과 서양인이 큰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동양인과 서양인의 상안검 차이

1. 동양인은 격막이 검판 앞까지 내려와 있습니다. 

2. 동양인은 안와지방이 검판까지 내려와 있습니다.

3. 안와지방이 내려오니 상안검거근의 섬유들이 표면에 발을 뻗는게 어렵습니다.

4. 위의 세가지 이유로 동양인은 쌍꺼풀 생성이 잘 안됩니다

 

 

이러한 지방을 적절히 제거하거나, 위치를 잘 잡아주는 것으로 쌍꺼풀 모양과 두툼한 눈의 모양을 잘 조절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너무 많이 제거할 경우에는 피부와 상안검거근이 닿아버려 원치하는 눈꺼풀이 발생 할 수 있다는 점을 꼭 주의해야 합니다.

 

 

 

3. 안륜근 (Orbicularis oculi)

안륜근은 간단합니다. 원형의 근육으로 수축하면서 눈을 감게 합니다. 이 안륜근은 위치에 따라 세가지로 구분합니다.

 

안륜근 Orbicularis oculi

 

특별히 성형수술에서 주의할만한 사항은 없지만(일부 strip으로 절제해내도 기능적인 문제가 되는 경우는 없습니다) 안와골절 수술시 주의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안와 내벽 골절에서 우리는 눈 안쪽을 통해 접근하게 됩니다. 이 때 honer 근육(안륜근의 일부인데, 이름을 추가로 붙인 것일 뿐)이라고 눈물을 코쪽으로 펌프해주는 근육이 다치면 눈물이 밖으로 흐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안와 내벽 수술 접근 시 빨간색 선을 따라 접근을 해야 한다는 것 정도만 기억하면 될 것 같습니다. 안와골절 내벽 수술할 때 주의할 구조물 정도로 기억하면 충분합니다.

 

 

 

 

 

 

 

 

 

 

 

4. 피부(skin)

상안검의 피부는 우리 몸의 피부중 가장 얇습니다. 여기서 우리가 생각해 봐야 할 것은 피부의 두께입니다. 이 피부의 두께에 따라서 쌍꺼풀 라인이 잘 생길 수도 있고 잘 생기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상안검 피부의 두께

 저널에 의하면 속눈썹 주변, 검판 가운데, 검판 위, 눈썹 아래로 가면 갈 수록 표피의 두께는 큰 변화 없고, 진피의 두께는 유의미하게 두꺼워 지고 있습니다.

 

 회색 칠해진 곳이 진피이며, 색칠되지 않은 곳이 표피입니다. 즉 진피는 속눈썹에서 눈썹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며, 끝과 끝에서는 4배이상 차이가 나게 됩니다. 

 

 

 

 

 

 

 

 

 

 

 

 

이것은 시사하는 바가 있습니다. 노인성 상안검을 수술 할 때, 피부를 자르고 나면 위 아래의 피부 피판의 두께가 많이 다를 수 있다는 것 입니다. 쌍꺼풀 라인에서는 진피 두께가 좀 더 드라마틱한 변화가 있으니 봉합 시 좀 더 주의해서 봉합해야 할 것입니다. 다르게 이야기하면 눈썹하거상술이 피부의 층(흉터와 관련)을 맞추기에는 좀 더 유용할 수 있습니다. 

 

오늘까지 상안검 심화 해부학에 대해서 포스팅 하였습니다. 난이도가 높지만 천천히 읽어보다 보면 이해 안될 내용은 없을 것 같습니다. 다음부터는 상안검 수술에 대해서 자세히 하나씩 포스팅을 시행할 예정입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도 '보람찬 하루를 향해' 화이팅